

제목 | 국내외 어류 질병 전문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에 모인다 | ||||
이름 | 김은정 | 날짜 | 2018.07.23 | SNS공유 |
![]() ![]() ![]() |
첨부파일 | ![]() ![]() |
조회수 | 6077 | ||
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(원장 우동식, 이하 수품원)은 6월 20일(수)부터 21일(목)까지 이틀간 부산 영도에서 ‘제3회 어류질병 전문가 초청 국제워크숍’을 개최한다고 밝혔다. 수품원은 국내외 어류질병 전문가들 간 연구정보를 교류하고, 세계적인 어류 질병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 2016년부터 어류질병 관련 국제워크숍을 개최해 왔다. * 1회(‘16. 4. 21.) :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 국제워크숍 개최 * 2회(‘17.5.10~5.11.) : 전염성 어류질병 국제워크숍 개최 3회째를 맞은 이번 워크숍에는 덴마크 수의연구소, 캐나다 수산해양연구소, 노르웨이 국립수의연구원, 영국 환경수산양식센터와 일본 증양식연구소의 어류 질병 전문가와 국내 수산 관련 대학, 연구기관 및 한국어병학회 회원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. 올해에는 우리나라의 활어 수출 1위인 넙치* 및 연어과 어류에 주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출혈성패혈증(VHS)이 포함된 어류 랍도바이러스병** 분야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. * ’17년 기준 수출액 44백만불, 수출량 27백톤 ** 넙치 및 연어과 어류 등에서 주로 발병하는 질병으로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(VHS), 전염성조혈기괴사증(IHN) 등이 있으며 감염된 어류의 폐사율이 높음. 단, 감염된 양식 수산물을 섭취하여도 인체에는 무해함 또한, 외래 병원체의 국내 유입 위험을 줄이기 위한 수입위험평가*에 대한 평가방법과 절차 등을 마련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. * 수산물을 수입할 경우 외래 병원체의 유입에 의해 국내 생태계 및 양식 산업 등 미치는 질병 피해 가능성 여부를 평가 < 주요발표 주제 > 국가 발표주제 덴마크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(VHS)의 특성과 추적을 위한 최신 접근법 및 랍도바이러스에 대한 DNA 백신 캐나다 전염성조혈기괴사증(IHNV) DNA 백신 : 캐나다 연어 양식 산업에 적용 노르웨이 수산생물의 수입 위험 평가와 관련 정책 수립 영국 수생동물건강관리에 있어 수입위험분석의 역할 일본 일본의 수산생물 질병 예방과 대책 한국 (수품원) 세계동물보건기구(OIE) 표준실험실 운영 방안 / VHS의 진단과 유전형 분석을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 등 우동식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장은 “국내외 어류 질병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세계적인 어류 질병문제를 논함으로써 어류 질병 예방을 위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.”라고 말했다. 한편, 수품원은 아시아 최초,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올해 5월 23일 세계동물보건기구(OIE)로부터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(VHS) 분야 표준실험실 지위를 인정받았으며, 6월 21일(목) OIE 표준실험실 현판식을 개최한다. |
![]() | OIE 국제표준실험실 지위 획득 |
![]() | 농수산물 원산지 단속 특별사법경찰관 합동 워크숍 개최 |